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중 신종 · 재출현 감염병 5가지
지난시간에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
10대 감염병 중 국내 유행 감염병 5가지 알려드렸는데요.
오늘은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
10대 감염병 중 신종 · 재출현 감염병 5가지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질병관리본부는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과 예방수칙을 발표했는데
우리가 주의 해야할 신종 · 재출현 감염병 5가지는 어떤 것일까?
- 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(AI)
- 중동호흡기증후군(MERS)
- 모기매개감염증 (뎅기열 · 지카바이러스감염증)
- 바이러스성 출혈열 (에볼라바이러스병)
- 병원성 비브리오 감염증 (콜레라)
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중 신종 · 재출현 감염병 예방수칙은?
● 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(AI)
정의 :
AI에 감염된 닭·오리·철새 등 조류를 통해 전파됨.
국내 인체 감염 사례는 없지만, 중국 등 인접국가 발생이 증가하는 상황.
증상 :
발열, 기침, 피로감 등 증상이 생김.
치료 및 예방 :
인체 감염 시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함.
AI 발생 농가 종사자 등 고위험군에게는 예방을 목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기도 함.
예방을 위해서는 생가금류 접촉을 피하고, 축산 농가나 철새 도래지 방문을 자제.
● 중동호흡기증후군(MERS)
정의 :
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병으로, 낙타와 접촉하거나 낙타 우유를 섭취하는 등
낙타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는 주장이 일반적.
증상 :
발열, 기침, 호흡곤란 등 증상이 생기며 치명률이 20~46%로 높음.
치료 및 예방 :
특별한 치료제가 없으며, 증상완화와 회복을 위해 전문기관에서 치료를 받아야 함.
중동 여행 시 낙타를 접촉하지 말고, 중동 방문 후 14일 이내 발열·호흡기 증상 발생 시
병원을 방문하지 말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(1339)로 신고.
● 모기매개감염증 (뎅기열 · 지카바이러스감염증)
정의 :
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의 흡혈을 통해 전파됨.
증상 :
발열 발진과 함께 뎅기열의 경우 드물게 중증으로 진행돼 쇼크나 신경질환을 유발하며,
지카바이러스감염증은 임신부 감염 시 신생아 소두증이 발생할 수 있음.
치료 및 예방 :
두 질환 모두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환자의 증상과 통증 등을 완화하는 치료를 함.
해당 국가 여행 시 모기 기피 용품을 사용하고 저녁 시간 외출 시 긴소매 옷을 입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함..
● 바이러스성 출혈열 (에볼라바이러스병)
정의 :
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열성감염병으로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과일박쥐를 통해 전염됨.
증상 :
초기에 발열·오한·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생기며 이후 발진 · 출혈 · 백혈구수 감소 · 혈액량 감소 등이 생김.
치사율이 25~90%로 주로 발병 10일 전후로 사망함.
치료 및 예방 :
특이치료법이 없고, 쇼크나 혈량 저하를 막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.
유행 지역에서 박쥐나 영장류, 진드기 등의 접촉에 주의하고, 의심 환자와 접촉을 피함.
● 병원성 비브리오 감염증 (콜레라)
정의 :
균에 오염된 물 또는 음식을 섭취한경우 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위장관질환.
증상 :
복통을 동반하지 않는 급성설사로 인한 중증 탈수가 동반되며,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기도 함.
치료 및 예방 :
탈수 방지를 위해 수액을 주입하는 것이 주된 치료방법.
항생제를 통해 증상의 진행 속도를 늦추기도 함.
개인위생을 관리하고 청결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.
출처 : 헬스조선
지금까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
'일상 > 알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식초로 건강해지는 방법 (5) | 2017.09.07 |
---|---|
건강 수명 늘리는 식습관 알고 계신가요? (4) | 2017.09.04 |
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중 국내 유행 감염병 5가지 (4) | 2017.08.29 |
활성산소 퇴치하는 컬러 푸드 (4) | 2017.08.25 |
휴가 후유증 극복법 ↗↗ 실천해보자. (4) | 2017.08.16 |